맨위로가기

소프트웨어 빌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프트웨어 빌드는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빌드는 컴파일, 링킹, 리소스 처리, 테스트, 배포 등 여러 단계로 구성되며, 프로그래밍 언어, 빌드 도구, 개발 및 실행 환경에 따라 단계와 방식이 달라진다. 빌드 도구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이며, make, ant, maven, gradle 등이 대표적이다. 빌드 자동화는 제품 품질 향상, 개발 시간 단축, 오류 감소 등의 장점을 제공하며, 증분 빌드와 같은 고급 기법을 통해 빌드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버전 관리와 코드 품질 관리는 빌드 프로세스의 신뢰성과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개발 - 유스 케이스
    유스 케이스는 시스템과 액터 간 상호작용을 통해 시스템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요구 사항 캡처, 모델링, 명세 기법으로,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기능 요구 사항을 캡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소프트웨어 개발 - 사용자 경험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인간 공학에 기반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설계하는 분야이며, 사용자 조사, 인터랙션 디자인, 사용성 테스트 등을 통해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컴퓨터 프로그래밍 - 순서도
    순서도는 컴퓨터 알고리즘이나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흐름 공정 차트에서 기원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종류와 소프트웨어 도구가 존재한다.
  • 컴퓨터 프로그래밍 - 의사코드
    의사코드는 컴퓨터 과학 및 수치 계산 분야에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표준적인 언어로, 자연어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요소를 혼합하여 알고리즘의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하고 프로그래머가 실제 코드로 구현하기 전에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검토하는 데 유용하다.
소프트웨어 빌드
소프트웨어 빌드 정보
유형소프트웨어 개발 활동
목적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변환
입력소스 코드
빌드 스크립트
구성 파일
출력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설치 패키지
단계
주요 단계전처리
컴파일
링크
테스트
추가 단계코드 생성
리소스 포함
최적화
문서 생성
도구
빌드 자동화 도구메이크
CMake
앤트
메이븐
그레이들
npm
yarn
MSBuild
파이썬
scons
개념
주요 개념빌드 자동화
지속적 통합
지속적 배포
설명
소프트웨어 빌드소스 코드를 독립 실행형 소프트웨어 아티팩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관련 용어
관련 용어소프트웨어 패키지

2. 빌드의 단계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소프트웨어 빌드는 여러 개별 기능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이다. 빌드에는 여러 단계가 포함되며,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빌드 도구, 개발 환경 및 실행 환경(운영 체제 등)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빌드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링크하여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때로는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아이콘 이미지나 문자열 같은 리소스를 처리하는 과정도 빌드 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 복잡한 소프트웨어의 경우, 여러 개의 소스 파일을 개별적으로 컴파일(분할 컴파일)한 후 링크 단계에서 파일 간의 의존성을 해결한다.

이러한 빌드 과정은 일반적으로 '''빌드 도구'''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동화된다. make, ant, maven, SCons, MSBuild, Gradle 등이 대표적인 빌드 도구이다. 빌드 도구는 파일들을 올바른 순서로 처리하며, 변경되지 않은 파일은 다시 처리하지 않아 빌드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많은 통합 개발 환경(IDE)에는 빌드 도구가 내장되어 있어 개발 과정을 편리하게 해준다. Subversion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 중 일부는 빌드 유틸리티의 기능을 내장하기도 한다.

2. 1. 소스 코드 컴파일

컴파일 기능은 소스 파일을 직접 실행 가능한 개체 또는 중간 개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모든 프로젝트에 이 기능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단순한 프로그램의 경우, 하나의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는 과정만으로 빌드가 완료될 수 있다. 하지만 복잡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소스 코드를 여러 파일로 나누어 관리한다. 이 경우 각 파일을 개별적으로 컴파일(분할 컴파일)한 후, 링커를 통해 파일 간의 종속 관계를 해결하여 최종 결과물을 만든다. 이렇게 여러 파일로 구성된 소스 코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여러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빌드 과정에는 여러 단계가 포함되며,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빌드 도구, 개발 환경, 그리고 실행 환경(운영 체제, 가상 머신 등)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C 언어나 C++의 경우, 먼저 컴파일러가 소스 파일(소스 코드)을 오브젝트 파일(오브젝트 코드)로 변환(컴파일)한다. 그 다음, 링커가 이 오브젝트 코드들을 하나로 묶어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아이콘 이미지나 지역화된 문자열 같은 자원들을 '리소스' 형태로 실행 파일 안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이 리소스의 컴파일과 링크 작업 역시 빌드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C/C++와 같은 언어에서는 헤더 파일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자료형, 상수, 함수 등의 정의나 선언을 여러 파일에서 공유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헤더 파일을 포함(#include)하는 과정에서 파일 간의 종속 관계가 발생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빌드는 보통 '''빌드 도구'''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행된다. 빌드 도구는 컴파일, 링크 등 빌드에 필요한 여러 다른 프로그램들을 제어하고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빌드 도구로는 make, ant, maven, SCons, MSBuild, Gradle 등이 있다. 대부분의 통합 개발 환경(IDE)에는 특정 빌드 도구가 내장되어 있어 개발자가 프로그래밍과 빌드 작업을 편리하게 반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빌드 도구는 여러 소스 파일들을 올바른 순서로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작업을 관리한다. 특히 개발 과정에서는 빌드를 여러 번 반복하게 되는데, 정교한 빌드 도구는 이전 빌드 이후 변경되지 않은 파일(단, 헤더 파일 등 종속 관계는 고려해야 함)은 다시 컴파일하지 않음으로써 빌드 시간을 단축시킨다. Subversion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 중 일부는 빌드 도구의 기능을 내장하기도 한다. 더 복잡한 빌드 프로세스에서는 빌드 과정 중에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드나 데이터를 생성하기도 한다.

언어별 컴파일러 예시는 다음과 같다.

  • C 언어: GCC는 빠른 컴파일 속도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컴파일러이다. 인텔의 컴파일러는 다른 컴퓨터로의 이식성보다는 생성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에 중점을 둔다.
  • 자바: 이클립스의 내부 컴파일러와 Javac 컴파일러가 있다. 이클립스 내부 컴파일러는 에러 메시지가 발생해도 오류를 처리하며 빌드를 시도하는 반면, Javac는 모든 오류를 수정해야만 빌드가 가능하다.

2. 2. 오브젝트 파일 링크

소스 파일이 컴파일러에 의해 오브젝트 파일로 변환된 후, 이 오브젝트 파일들을 하나로 묶어 실행 파일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링커가 이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C 언어 또는 C++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경우, 먼저 각 소스 파일을 컴파일러를 이용해 오브젝트 파일로 만든다. 그 다음, 링커가 이 오브젝트 파일들을 하나로 합치고, 필요한 라이브러리 등을 연결하여 최종적인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아이콘 이미지나 여러 언어로 번역된 문자열 같은 리소스들도 빌드 과정에서 컴파일되고, 링크 단계를 거쳐 실행 파일 안에 포함되기도 한다.

간단한 프로그램은 소스 파일 하나를 컴파일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지만,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는 보통 모듈별로 나누어진 여러 개의 소스 파일로 구성된다. 이는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렇게 나누어진 소스 파일들은 각각 분할 컴파일되어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이 생성된다. 링커는 이 여러 오브젝트 파일들을 모아 링크하면서, 각 파일들이 서로에게 필요한 부분(함수 호출, 변수 사용 등)을 찾아 연결해주는, 즉 종속 관계를 해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C/C++에서는 헤더 파일을 통해 여러 소스 파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형, 상수, 함수 등을 정의하거나 선언하는데, 이 헤더 파일을 포함(#include)하는 과정에서 파일 간의 종속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링크 과정은 make, ant, Gradle과 같은 빌드 도구에 의해 자동화되는 경우가 많다. 빌드 도구는 필요한 파일들을 올바른 순서로 컴파일하고 링크하며, 변경되지 않은 파일은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 빌드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도 한다.

2. 3. 리소스 처리 (선택 사항)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참조하는 각종 아이콘 이미지나 현지화된 문자열 등을 실행 파일 내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리소스'라고 부른다. 빌드 과정에서는 이러한 리소스를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3. 빌드 자동화

빌드 자동화는 소스 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컴파일하고, 바이너리 코드를 패키징하며, 테스트를 실행하고, 생산 시스템에 배포하며, 문서나 릴리스 노트를 작성하는 등의 개발 작업을 스크립트화하거나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행 파일 형식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여 오브젝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링크하여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소스 파일이 하나라면 간단하지만, 다수의 소스 파일이 존재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올바른 순서와 옵션으로 수작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ake와 같은 도구가 등장하여 컴파일이나 링크를 올바른 순서로 수행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GNU Make[11]에서는 소스 코드의 종속 관계를 관리하여 변경된 부분만 컴파일하는 점증적 빌드가 가능해졌는데, 이것이 빌드 자동화의 시작이다. 초기 목적은 컴파일러나 링커의 호출을 자동화하는 것이었다.

빌드 도구는 개발자가 수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지만, 정해진 시간에 매일 실행하거나(나이틀리 빌드),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소스 파일의 변경 사항이 커밋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빌드 프로세스가 복잡해짐에 따라, 컴파일러 호출 전후에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코드를 체크아웃하거나 생성된 실행 파일을 테스트 환경에 배포하는 등 다양한 작업이 추가되었다. 더욱이, 빌드 스크립트 자체를 생성하는 도구도 등장했으며, 이는 빈번하게 빌드를 수행하는 지속적 통합(CI) 환경이나 여러 대상 플랫폼 또는 다른 개발 환경에 따른 빌드 스크립트를 필요에 따라 자동 생성하는 데 유용하다.

고급 빌드 도구는 여러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여 빌드 속도를 높이는 분산 빌드 및 분산 처리를 지원하기도 한다. 분산 빌드는 실제 컴파일이나 링크를 별도의 머신에서 병렬로 수행하여 빌드 시간을 단축하는 기법이다.[12][13][14][15]

빌드 자동화는 제품 품질 향상, 개발 시간 단축, 오류 감소 등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10]

3. 1. 빌드 자동화의 장점


  • 제품 품질 향상
  • 컴파일 및 링크 소요 시간 단축
  • 불필요한 작업 제거
  • 절차 오류 제거
  • 특정 전문가에게 의존할 필요 없음
  • 이력을 보존하여 문제 발생 시 원인 규명 용이
  • 시간과 비용 절감[10]

3. 2. 빌드 도구

컴퓨터 프로그램빌드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빌드 도구'''에 의해 관리된다. 빌드 도구는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고 링크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복잡한 과정을 자동화하며, 이 과정에서 파일 처리 순서를 관리한다. 대표적인 빌드 도구로는 make, Gradle, Ant, Maven, Rake, SCons, MSBuild, Phing 등이 있다.

소스 디렉터리의 경로를 포함한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 실행되는 Cmake 및 Make 명령의 예


빌드 과정에는 여러 단계가 있으며, 이는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빌드 도구, 개발 환경, 실행 환경(타겟 아키텍처, 운영 체제, 가상 머신 등)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C 언어나 C++에서는 소스 파일을 컴파일러로 오브젝트 파일로 변환(컴파일)한 후, 링커를 사용해 오브젝트 파일들을 결합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프로그램 실행 시 필요한 아이콘 이미지나 지역화된 문자열 등은 '리소스'로 컴파일되어 실행 파일에 포함되기도 한다.

간단한 프로그램은 소스 파일 하나를 컴파일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복잡한 소프트웨어는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소스 코드를 여러 모듈 파일로 나누어 관리한다. 각 파일을 개별적으로 컴파일(분할 컴파일)한 후, 링크 단계에서 파일 간의 종속 관계를 해결한다. C/C++에서는 헤더 파일을 통해 사용자 정의 타입, 상수, 함수 등을 공유하며, 이 과정에서 파일 간 종속성이 발생한다. 빌드 도구는 이러한 종속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파일만 다시 컴파일하는 점증적 빌드(incremental build)를 수행하여 빌드 시간을 단축시킨다. 정교한 빌드 도구와 링커는 변경되지 않은 코드는 재컴파일하지 않으려 시도한다.

통합 개발 환경(IDE)에는 보통 빌드 도구가 내장되어 있어 프로그래밍과 빌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Subversion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 중 일부는 빌드 유틸리티 기능을 내장하기도 한다.

=== 빌드 자동화 ===

빌드 자동화는 컴파일, 패키징, 테스트, 배포, 문서 작성 등 반복적인 개발 작업을 스크립트화하여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제품 품질 향상
  • 컴파일 및 링크 시간 단축
  •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작업 제거
  • 수동 작업으로 인한 절차상 오류 감소
  • 특정 전문가에 대한 의존도 감소
  • 빌드 이력 추적을 통한 문제 발생 시 원인 규명 용이
  • 시간과 비용 절감[10]


빌드 도구는 개발자가 직접 실행할 수도 있지만,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실행되거나(나이틀리 빌드), 버전 관리 시스템에 소스 파일 변경 사항이 커밋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 빌드 도구의 발전 ===

소스 파일이 많은 프로젝트에서 컴파일과 링크를 올바른 순서와 옵션으로 수동 진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ake와 같은 빌드 도구가 등장하여 컴파일 및 링크 순서를 자동화하는 스크립트(Makefile)를 사용하게 되었다. GNU Make[11]는 더 나아가 소스 코드의 종속 관계를 관리하여 변경된 부분만 컴파일하는 점증적 빌드를 가능하게 했다. 이것이 빌드 자동화의 시작으로, 초기 목적은 컴파일러나 링커 호출을 자동화하는 것이었다.

빌드 프로세스가 복잡해짐에 따라, 컴파일러 호출 전후에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코드를 가져오거나 생성된 실행 파일을 테스트 환경에 배포하는 등 다양한 작업이 빌드 과정에 추가되었다. 이후 빌드 스크립트 자체를 생성하는 도구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도구는 빈번한 빌드가 필요한 지속적 통합(CI) 환경이나 여러 플랫폼 및 개발 환경에 맞는 빌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데 유용하다.

고급 빌드 도구는 분산 빌드 및 분산 처리를 지원한다. '분산 빌드'는 컴파일이나 링크 작업을 여러 컴퓨터에서 병렬로 수행하여 빌드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스 코드의 종속 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기능이 중요하다. 일부 빌드 도구(Rational ClearMake[12], Electric Cloud ElectricAccelerator[13] 등)는 종속 관계를 자동으로 발견할 수 있으며, 다른 도구(Platform LSF lsmake[14] 등)는 사용자가 정의한 종속 관계만 처리한다. 종속 관계 파악이 가능한 도구는 컴파일 및 링크를 병렬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분산 빌드의 예로는 Xoreax의 IncrediBuild[15]가 있다.

=== 언어별 빌드 도구 예시 ===

  • C 언어/C++: GCC는 빠른 컴파일 속도로 널리 사용되며, 인텔의 컴파일러는 특정 환경에서의 실행 속도 최적화에 중점을 둔다. make, CMake 등도 자주 사용된다.
  • 자바: 이클립스의 내부 컴파일러는 일부 오류가 있어도 빌드를 시도하는 반면, javac는 모든 오류를 수정해야 빌드가 가능하다. Ant, Maven, Gradle 등이 대표적인 자바 빌드 도구이다.
  • 어셈블리어: Flat Assembler와 같은 도구가 사용된다.
  • 파이썬: 빌드 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와프(Waf) 등이 알려져 있다.

4. 고급 빌드 기법

컴퓨터 프로그램빌드 과정은 프로그램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정교해졌다. 초기에는 단순히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수준이었으나, 점차 버전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 자동 테스트 환경 구축 등 다양한 작업들이 빌드 프로세스에 통합되었다.[11]

이러한 복잡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빌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고급 빌드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증분 빌드: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감지하여 수정된 부분과 관련된 파일만 다시 컴파일하고 링크함으로써 전체 빌드 시간을 단축하는 기법이다. GNU Make와 같은 도구는 소스 코드의 종속 관계를 관리하여 증분 빌드를 가능하게 했다.[11]
  • 분산 빌드: 여러 대의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여 컴파일 및 링크 작업을 병렬로 처리함으로써 빌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스 코드 간의 종속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12][13][14][15]
  • Makefile 자동 생성: 복잡한 빌드 스크립트(Makefile)를 직접 작성하는 대신, 도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여러 플랫폼이나 개발 환경에 맞는 빌드 설정을 쉽게 관리하고, 지속적 통합 환경에서 빌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유용하다.


이러한 고급 빌드 기법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증분 빌드 (Incremental Build)

여러 소스 파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스 파일에 약간의 변경만 가해도 매번 모든 소스 파일을 무조건 다시 컴파일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자동화된 빌드 시스템에서는 타임스탬프 등을 이용하여 변경된 파일만 감지하여 해당 파일과 이에 의존하는 관련 파일만 다시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증분 빌드 (Incremental Build)를 지원한다[16][17]。이를 통해 코드 편집, 빌드, 실행, 테스트의 개발 사이클을 가속화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모듈만 다시 링크하는 증분 링크 (Incremental Link)를 지원하는 처리 시스템도 존재한다[18]。실행 시 개별 라이브러리 모듈을 로드하여 결합하는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방식의 경우, 링크 처리는 심볼 정보만 기록된 임포트 라이브러리를 실행 파일에 링크하는 것뿐이므로 빠르다. 반면, 빌드 시 모든 모듈을 결합하여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는 정적 링크 라이브러리 방식의 경우, 링크 처리에 시간이 걸리므로 증분 링크가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빌드 시스템이 아닌, 컴파일러 모듈 자체가 증분 컴파일 (Incremental Compile)을 지원하는 언어도 있다. 예를 들어 Rust의 컴파일러는 버전 1.24 이후로 증분 컴파일을 지원한다[19][20]。Rust 컴파일러는 첫 번째 단계로 추상 구문 트리 (AST)를 구축하고, 다음으로 AST를 분석하여 타입 정보 및 개별 함수에 관한 중간 표현 (MIR)을 생성한다. 그 후, 오류가 발견되지 않으면 소스 레벨의 모듈별로 오브젝트 파일을 생성하면서 MIR에서 기계어 코드로 변환된다. 이러한 타입 정보, MIR, 오브젝트 파일 요소는 중간 결과로 디스크 캐시에 저장되며, 이후 컴파일 시 캐시에서 로드된다. 또한 의존 관계 그래프를 바탕으로 변경된 요소만 업데이트한다. 다만 Rust의 증분 컴파일은 두 번째 이후의 빌드 사이클을 가속화하지만,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바이너리의 실행 속도를 약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릴리스 빌드에서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4. 2. 분산 빌드 (Distributed Build)

고급 빌드 도구는 분산 빌드 및 분산 처리가 가능하다. 분산 빌드는 실제 컴파일이나 링크 작업을 각각 별도의 컴퓨터에서 수행하여 빌드 속도를 높이는 기법이다.[12][13][14] 반면, 분산 처리는 예를 들어 테스트용 스크립트를 여러 컴퓨터에 배치하여 새로운 실행 파일의 테스트를 분산된 환경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분산 빌드를 수행하려면 소스 코드의 종속 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부 빌드 도구는 이러한 종속 관계를 자동으로 발견할 수 있으며(예: Rational ClearMake[12], Electric Cloud ElectricAccelerator[13]), 다른 도구들은 사용자가 직접 정의한 종속 관계만을 다룬다(예: Platform LSF lsmake[14]). 소스 코드의 종속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빌드 도구는 컴파일 및 링크 작업을 병렬 모드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여러 개의 코어를 가진 컴퓨터에서 컴파일러나 링커를 멀티 스레드 모드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모든 빌드 도구가 분산 빌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분산 빌드의 예시로는 Xoreax 사의 IncrediBuild[15] 등이 있다.

4. 3. Makefile 자동 생성

빌드 자동화의 한 형태로, Makefile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Makefile을 자동 생성하는 대표적인 도구들은 다음과 같다.

도구 이름
GNU 오토메이크
CMake
imake
qmake
아파치 앤트
아파치 메이븐


5. 버전 관리

버전 관리 기능은 작업 공간 생성 및 업데이트, 기준선 설정 및 보고와 같은 활동을 수행한다. 빌드 프로세스가 실행될 환경을 만들고 빌드 프로세스의 입력 및 출력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캡처하여 반복 가능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Git, AccuRev 또는 StarTeam과 같은 도구는 기록에서 특정 시점을 중요하게 태그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여 이러한 작업을 돕는다.

6. 코드 품질

정적 프로그램 분석으로도 알려진 코드 품질 검사는 개발자가 코드 품질의 7가지 중요한 요소, 즉 주석, 단위 테스트, 중복, 복잡성, 코딩 규칙, 잠재적 버그, 아키텍처 및 설계를 잘 지켰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7]

프로젝트에서 높은 수준의 코드 품질을 확보하면 버그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한 유지 관리, 확장, 코드 읽기의 용이성과 같은 비기능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기업의 ROI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8]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Build? https://www.techoped[...] 2020-04-04
[2] 웹사이트 Universal Package Formats and How They Differ » Linux Magazine https://www.linux-ma[...] 2024-12-06
[3] 웹사이트 What is Software Package? https://www.geeksfor[...] 2024-12-06
[4] 웹사이트 A Comprehensive Guide to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 Net Group https://netgroup.com[...] 2024-12-06
[5] 웹사이트 Software Build Process (Complete Guide) https://devopsbuzz.c[...] 2024-12-06
[6] 웹사이트 What is Software Building Process? A Complete Guide in 2024 - Hapy Co https://hapy.co/jour[...] 2024-12-06
[7] 웹사이트 SonarQube™ software http://www.sonarqube[...] 2014-01-04
[8] 서적 Gradle in Action. Manning Pubns Co
[9] 문서 Java에서는 JAR를, Android에서는 APK를 아카이브 형식으로 사용
[10] 웹사이트 Pragmatic Project Automation http://www.denverjug[...] Mike Clark 2004
[11] 웹사이트 GNU Make http://www.gnu.org/s[...]
[12] 웹사이트 Dr. Dobb's Distributed Loadbuilds http://www.ddj.com/a[...] 2009-04-13
[13] 웹사이트 Dr. Dobb's Take My Build, Please http://www.ddj.com/a[...]
[14] 웹사이트 LSF User's Guide - Using lsmake http://www.lle.roche[...] 2009-04-13
[15] 웹사이트 高速分散コンパイル環境ソリューション http://www.xoreax.co[...] 2009-06-16
[16] 웹사이트 インクリメンタル ビルド - Visual Studio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17] 웹사이트 Introducing Incremental Build Support | Gradle Blog https://blog.gradle.[...]
[18] 웹사이트 /INCREMENTAL (Link Incrementally)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19] 웹사이트 Incremental Compilation for faster compiles - The Edition Guide https://doc.rust-lan[...]
[20] 웹사이트 Incremental Compilation | Rust Blog https://blog.rust-la[...]
[21] 웹사이트 compile - The Go Programming Language https://golang.org/c[...]
[22] 웹사이트 go - The Go Programming Language https://golang.org/c[...]
[23] 웹사이트 Go 1.10 Release Notes - The Go Programming Language https://golang.org/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